용담과 큰잎쓴풀 큰잎쓴풀(Swertia wilfordii J.Kern.)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 잎 잎은 대생하고 좁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며 밑은 줄기를 약간 둘러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열매 과실은 삭과이고 포간이 갈라져 많은 종자가 나오다. 꽃 꽃은 8~9월에 자색으로 피고 4.. 더보기 네귀쓴풀 네귀쓴풀(Swertia tetrapetala (Pall.) Grossh.)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한해살이풀. 산야에서 자란다. 개화 때에 채취하여 햇빛에 말린 것을 자주쓴풀(당약)과 함께 건위제로 쓴다. 잎 잎은 대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넓은 도피침형으로 밑이 좁아져 엽병같이 되나 화시에는 마르며 중앙부의 것.. 더보기 자주쓴풀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H.Hara)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 자지쓴풀·쓴풀·어담초·장아채·수황연·당약이라고도 한다. 산지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잎이 달린 줄기를 건위제와 지사제로 사용한다. 잎 잎은 대생하며 길이는 2~4cm, 폭은 3~8mm로서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 더보기 개쓴풀 개쓴풀(Swertia diluta var. tosaensis (Makino) H.Hara)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 나도쓴풀이라고도 한다. 들의 습지에서 자란다. 비슷한 종인 쓴풀·자주쓴풀과 달리 뿌리가 쓰지 않다. 한방에서 소화불량·식욕부진 등에 약용한다. 잎 잎은 대생, 밑부분의 것은 긴 타원상 도피침형 .. 더보기 쓴풀 쓴풀(Swertia japonica (Schult.) Griseb.)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용담목 용담과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 ▽ 겹꽃 잎 잎은 대생하고 선형 또는 선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1~3.5cm, 나비 1~3mm이며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약간 뒤로 말리며 엽병은 없다. 열매 과실은 삭과로 화관보다 약간 길며 피침형이.. 더보기 닻꽃 닻꽃(Halenia corniculata (L.) Cornaz)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산지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잎 잎은 대생하고 3(5)맥이 있으며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다소 엽병처럼 되고 길이 2-6cm, 나비 1-2.5cm로서 뒷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 더보기 덩굴용담 덩굴용담 (Tripterospermum japonicum (Siebold & Zucc.) Maxim)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산기슭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땅을 기어 다른 물체를 감는다. 한국(제주도·울릉도)·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잎 잎은 대생, 긴 난형 또는 난상 피침.. 더보기 비로용담 비로용담[毗盧龍膽] (Gentiana jamesii Hemsl. for. jamesii)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여러해살이풀. 비로과남풀·백산용담이라고도 한다. 높은 산의 중턱에서 자란다. 뿌리의 맛이 쓰다 하여 용담이라 하고 약용으로 쓰이며 어린 순과 잎은 먹는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잎..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