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귀쓴풀(Swertia tetrapetala (Pall.) Grossh.)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한해살이풀. |
산야에서 자란다. 개화 때에 채취하여 햇빛에 말린 것을 자주쓴풀(당약)과 함께 건위제로 쓴다.
잎 | |
잎은 대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넓은 도피침형으로 밑이 좁아져 엽병같이 되나 화시에는 마르며 중앙부의 것은 삼각상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수평으로 퍼지며 길이 2~3.5cm, 나비 7~15m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며 엽병은 없다. | |
열매 | |
과실은 삭과로 9~10월에 성숙한다. | |
꽃 | |
꽃은 7~8월에 자색으로 피고 4수성이며 줄기 끝에 모여 달려 전체가 원추형으로 되고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피침형으로 화관의 길이 1/3 정도이고 화관열편은 타원형 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흑자색 점이 있으며 선체는 1개이다. | |
줄기 | |
줄기는 곧추 서고 네모지며 털이 없고 가지친다. | |
분포 |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사할린, 캄차카에 분포한다. | |
형태 | |
1~2년초
| |
크기 | |
높이 30cm에 달한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