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공부/초본류 바보여뀌 바보여뀌(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바보역귀·유모료(柔毛蓼)라고도 한다. 물가에서 자란다. 여뀌와 비슷하지만 원줄기에 털이 없고 잎에 검은 점이 있으며, 매운맛이 없고 열매가 세모진 것이 다르다. 바보여뀌라는 말은 일본 이름을 번.. 더보기 가시여뀌 가시여뀌(Persicaria dissitiflora (Hemsl.) H.Gross ex Mori)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산지 응달에서 자란다. 잎 잎은 호생하며 크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얕은 심장저이며 길이 3-13cm, 폭 1-7cm로서 양쪽 기부의 열편이 뾰족하고 밖으로 튀어나오며 뒷면 맥 위에 짧.. 더보기 기생여뀌 기생여뀌(Persicaria viscosa (Hamilt. ex D.Don) H.Gross ex Nakai)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연못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열매는 윤기가 나며 향기가 있고 흑갈색이다. 향료로 쓰인다. 잎 잎은 호생하고 난상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7-15cm, 폭 1.5-4cm로서 양면에 선점이.. 더보기 이삭여뀌 이삭여뀌(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골짜기 냇가와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포기 전체에 진통·지혈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통·위통 등에 사용한다. 잎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7-15cm, 폭 4-.. 더보기 장대여뀌 장대여뀌(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Meisn.) H.Hara)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산지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잎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양끝이 길게 좁아지고 길이 3-7cm, 폭 1.5-3cm로서 양면에 약간의 털이 있으며 뒷면에 간혹 흑색 반점이 있고 엽병.. 더보기 털여뀌(노인장대) 털여뀌(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붉은털여뀌, 노인장대라고도 한다. 동남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거나 포기 전체와 종자를 약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재배한다. 민간에서는 포기 전체를 이뇨·해열·.. 더보기 개여뀌 개여뀌(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들이나 길가에 자란다. 줄기와 잎은 약용한다. 잎 잎은 호생하고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4-8cm, 폭 1-2.5cm로서 밋밋한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초상의 탁엽은 길이 5-10mm.. 더보기 여뀌 여뀌(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var. hydropiper)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수료(水蓼)·택료(澤蓼)·천료(川蓼)라고도 한다. 습지 또는 냇가에서 자란다. 잎과 줄기는 항균작용이 뛰어나며, 혈압을 내려주고 소장과 자궁의 긴장도를 강화시킨다. 민간에서는 이것을 짓찧어 .. 더보기 이전 1 2 3 4 5 ··· 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