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공부/초본류 구름패랭이꽃 구름패랭이꽃(Dianthus superbus var. alpestris Kablik. ex Celak.)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홍구표·구표·대석죽(大石竹)·구름술패랭이꽃·참대나물이라고도 한다. 높은 산의 돌밭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풀 전체를 다른 약재와 함께 안질·이뇨·회충·치질 등에 처방한다.. 더보기 술패랭이꽃 술패랭이꽃(Dianthus longicalyx Miq.)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술패랭이·장통구맥이라고도 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꽃이나 열매가 달린 식물체를 그늘에 말려서 이뇨제·통경제(通經劑)의 약재로 쓴다.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잎 잎은 대생하며 선형 또는 선상 피침.. 더보기 패랭이꽃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L. var. chinensis)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석죽화(石竹花)·대란(大蘭)·산구맥(山瞿麥)이라고도 한다. 낮은 지대의 건조한 곳이나 냇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잎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길이 3-4cm, 폭 7-9mm로서 선형 내지는 피침형이며 끝이 뾰.. 더보기 전동싸리 전동싸리(Melilotus suaveolens Ledeb.)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두해살이풀. 초목서(草木犀)·멜리토우스초라고도 한다. 중국 북부 원산이다. 저지대의 풀밭에 자란다. 풀 전체를 해열·안질·신장염 등에 약용한다. 꽃이 보다 작고 흰색인 것을 흰전동싸리(M. alba)라고 한다. 모두 목초자원으.. 더보기 제주달구지풀 제주달구지풀(Trifolium lupinaster for. alpinus (Nakai) M.Park)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에 분포한다. 잎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짧으며 5개의 소엽으로 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두에 예저이고 엽맥이 뚜렷하며.. 더보기 달구지풀 달구지풀(Trifolium lupinaster L.)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풀밭에서 흔히 자란다. 잎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짧으며 5개의 소엽으로 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두에 예저이고 엽맥이 뚜렷하며 길이 2-4cm, 폭 0.5-1cm이다. 잎뒷면의 주맥에 복모가 있으.. 더보기 서양벌노랑이 서양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L. var. corniculatus)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벌노랑이 꽃이 꽃자루에 1~3송이씩 피는 것에 비해 서양벌노랑이의 꽃은 3∼7송이씩 뭉쳐 피는 것이 다르다. 잎 잎은 3소엽으로 되며 소엽은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0.7-1.3㎝, 폭 3-8㎜이다. 탁엽은 .. 더보기 벌노랑이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Regel)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노랑돌콩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양지에서 자란다. 포기째 사료로 쓰거나 뿌리를 강장제나 해열제로 사용한다. 잎 잎은 호생하며 보통 5개의 소엽으로 구성 되지만 밑부분에 있는 2개의 소엽은 원줄기에..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