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6년에 남갑리(南甲里)와 북갑리(北甲里)로 되어 서면에 속하였던 것이
1911년부터 남갑과 북갑이 합쳐져서 양갑리로 되었다.
■ 남갑리(南甲里): 남갑
이 마을에는 상읍동(上邑洞)과 중읍동(中邑洞), 하읍동(下邑洞))이 있었으며 그 시기는 고려시대라고 한다.
⊙ 곡촌(谷村): 곡말
하읍동이었던 곳. 곡촌(골말), 곤멀이라고 하는데 중세기에는 이곳에 조수가 드나들어 지반이 패어져 골이 생긴 마을이라고 하여
곡촌이라 했는데 이것을 골말로 부르다가 다시 와전되어 곤멀로 전해진다.
⊙ 장골(개장골)
이곳은 중읍동이었던 곳으로 장골이라고 하는데, 옛날 장이 섰던 마을이라 하여 장골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 북갑리(北甲里): 북갑
이 마을에는 음지동(陰地洞)과 후읍동(後邑洞)이 있었다 한다. 그 시기는 역시 고려시대라고 한다.
▼ 동쪽 전경
▼ 서쪽 전경
⊙ 음지동(陰地洞): 골안
이 마을은 지대가 응달진 곳이라고 해서 음지동으로 전해지다가 골안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 후읍동(後邑洞): 겹재
남갑(곤멀)과 북갑(겹재) 양쪽 마을들이 재를 겹쳐 끼고 있어서 이곳을 겹재라 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곳에 둔조를 저장하여 두선 갑산창이 있었는데 그 터가 지금은 창터밭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 당재
북갑리에 당재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에 성황당이 있었다 하여 당재라고 전해지고 있다.
■ 장풍골
이 마을은 남갑에서 서쪽으로 따로 떨어진 작은 마을이다.
빈장산 서북 계곡을 끼고 있어서 샘이 좋고 장풍이 우거진 곳이라 하여 창풍골이라고 전해진다고 한다.
지금은 장풍지대가 전부 개답(논)이 되어 장풍이 없다고 한다.
또 이 마을은 본동에 벌쪽으로 떨어져 있다고 하여 벌에라고 부른다.
■ 빈장포(濱長浦)
빈장산 동록 끝에 있는 포구로 빈장산을 끼고 있는 포구라 해서 빈장포라 하였다.
고려 때에는 배가 많이 드나들었다고 한다.
※ 남갑리 느티나무는 수령이 5~600년으로 추정되는데 이 나무는 낙엽이 일제히 떨어지면 풍년이 들고,
오래두고 떨어지면 흉년이 든다는 이야기가 전해내려 오고 있다. 마을 고로(古老)들의 경험에 의한 전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