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본과

염주 염주 [念珠, Job's tears] (Coix lachryma-jobi)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인가 부근에서 야생.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1.5 m 내외로 자라고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가지가 갈라짐.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나비 2.5 cm 내외로 짙은 녹색이며 밑은 잎집으.. 더보기
조 [粟, Italian millet] (Setaria italica)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영문명으로 Barn grass 또는 Chinese corn이라고 한다. 속명의 Setara는 라틴어의 seta(강한 털)에서 유래하며, 종명의 italica는 '이탈리아산의' 를 뜻한다. 조는 밭에서 재배한다. 높이 1∼1.5m이고 가지를 치지 않는다. 잎은 바소꼴이고 가.. 더보기
벼 (Oryza sativa)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동인도 원산의 식용작물로 논이나 밭에 심는다. 높이는 1m 정도이고 잎은 가늘고 길며 성숙하면 줄기 끝에 이삭이 나와 꽃이 핀 후 열매를 맺는다. 벼의 열매를 찧은 것을 쌀이라고 하며, 전세계 인구의 40% 정도가 쌀을 주식량(主食糧)으로 한다. 벼.. 더보기
보리 보리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두해살이풀. 주요 재배식물의 하나로서 높이 1m 정도다. 마디가 높고 원줄기는 둥글다. 속이 비어 있고 마디 사이가 길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의 바소꼴로,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너비 10∼15mm이고, 녹색 바탕에 다소 흰빛이 돈다. 잎자.. 더보기
밀 [wheat] (Triticum aestivum(vulgare))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밀을 소맥(小麥)이라고도 한다. 아프가니스탄이나 캅카스가 원산지이고 주로 온대 지방의 밭에서 재배한다. 줄기는 뭉쳐나고 곧게 서며 표면이 밋밋하고 마디가 길며 높이가 1m이고 보리보다 빳빳하다. 싹이 틀 때 3개의 씨뿌리가 .. 더보기
호밀 호밀 [胡─, rye] (Secale cereale) 화본과의 1년초 또는 월년초. 라이보리라고도 한다. 캅카스 ·터키 원산이다. 잎은 녹청색으로 어린 잎의 윗면에는 벨벳 모양의 털이 밀생한다. 잎혀와 잎귀는 작고 백색이다. 봄에 줄기의 상부 5∼7마디 사이가 신장하여 키가 약 1.5 m, 품종에 따라서는 3 m에도 달하며 줄기 .. 더보기
옥수수 옥수수 [corn/indian corn/maize] (Zea mays)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1.5∼2.5m 자라고 일반적으로 가지를 치지 않는다. 잎은 너비 5∼10㎝, 길이 1m 이상이며 줄기에 어긋나게 달린다. 수꽃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고 암꽃이삭은 줄기 중앙부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몇 장의 포.. 더보기
수수 수수 [sorghum] (Sorghum bicolor)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고량(高梁)·촉서·고랑·로속(蘆粟)이라고도 한다. 높이 1.5∼3m이다. 표면은 굳고 흰색의 납질물이 있으며 속이 차 있다. 줄기에는 10∼13개의 마디가 있고 줄기 끝에 이삭이 달린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50∼60cm, 너비 5cm 정도로 1줄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