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공부/초본류

애기앉은부채

애기앉은부채  (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강원도의 높은 산지에서 자라는데, 이른 봄부터 잎이 먼저 자라다가 없어진 뒤 여름에 꽃이 피는 것이 특징이다.

앉은부채와 비슷하지만 잎이 훨씬 좁고, 잎이 자란 다음에 꽃이 피는 것이 다르다.

강원도 설악산,
대관령, 점봉산, 오대산, 태백산 등 중부 이북의 산지에만 나고 개체수도 매우 적은 식물이다.

민간에서 앉은부채와 같이 독성분이 있는 뿌리줄기와 잎을 구토진정() 또는 이뇨제()로 사용한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오고 엽병이 길며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대개 둔하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거나 심장저 비슷하고 길이 10-20cm, 나비 7-12c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이른 봄 다른 식물이 움트기전에 싹이 돋아 배추잎처럼 큰 잎으로 자랐다가 6월이 되면 지상부가 사라지고 휴면에 들어간다. 8월에 검붉은색의 포엽이 자라고 포엽 안에 꽃이 핀다.
    열매
열매는 다음해 꽃이 필 때 익는다.
   
꽃은 길이 1cm 정도되는 육수화서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린다. 화서는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리며 보우트 같은 검은 자갈색의 포로 싸여 있고 넓은 타원형이다. 잎이 자란 다음에 꽃이 핀다.
    뿌리
근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원산지
한국
    분포
강원도 이북의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초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식물공부 > 초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반하  (0) 2008.02.27
반하  (0) 2008.02.27
앉은부채  (0) 2008.02.25
물칭개나물  (0) 2008.02.22
개구리발톱  (0) 2008.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