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콩과

여우팥 여우팥(Dunbaria villosa (Thunb.) Makino)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잎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비스듬히 선 짧은 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적갈색 선점이 있고 정소엽은 사각형 비슷하며 길이와 나비가 각 1.5-3cm로서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진다. 탁엽은 좁은.. 더보기
차풀 차풀(Cassia mimosoides var. nomame)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냇가 근처의 양지에서 자란다. 잎이 달린 줄기를 말린 것과 볶은 종자를 차로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산편두(山扁豆)라는 약재로 쓰는데, 습열로 인한 황달과 식중독으로 인한 토사곽란에 효과가 있고 종창.. 더보기
자귀풀 자귀풀(Aeschynomene indica)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합맹(合萌)·수고맥(水固麥)·경통초(梗通草)·전비각(田鼻角)·거몰자라고도 한다. 습지에서 자란다. 잎이 자귀나무처럼 밤중에는 접히기 때문에 자귀풀이라고 한다.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쓰이며 종자와 풀 전체를 차 대.. 더보기
둥근매듭풀 둥근매듭풀(Kummerowia stipulacea)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잎 잎은 장상 3출복엽이며 턱잎은 막질이고 난형이며 엽병보다 길다. 소엽은 도란형으로 길이 0.5-1cm, 폭 3-8mm이고 소요두에 설저이며 측맥은 밀집되고 표면은 털이 성글게 있으며 주맥에 강모가 있고 뒷면에 주맥도 잎 .. 더보기
매듭풀 매듭풀(Kummerowia striata)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길가나 들 또는 하천가의 해가 잘 드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목초로 재배하며 중국에서는 해열이나 감기에 한약재로 쓴다. 잎 잎은 호생하고 3출엽이며 소엽은 긴 도란형이고 길이 1~1.5cm, 나비 5-8mm로서 .. 더보기
자주개자리 자주개자리 (Medicago sativa L.)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잎 잎은 호생하며 우상 3출엽이고 소엽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절두 또는 요두이고 중륵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2-3cm, 넓이 6-10mm로서 윗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윗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 더보기
잔개자리 잔개자리 (Medicago lupulina L.)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두해살이풀. 잎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우상 3출복엽이다. 소엽은 도란형 또는 원형이며 양끝이 둥글거나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7mm, 폭 6-15mm로서 앞뒷면에 털과 선모가 있고 윗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탁엽은 반난형이고 가.. 더보기
등나무 ▼ 흰등 등나무 [Japanese wistaria] (Wisteria floribunda)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콩과의 낙엽 덩굴식물. 등, 참등이라고도 하며 여름에 뙤약볕을 피해 그늘을 만들기 위해 흔히 심는 나무 덩굴. 야생 상태인 것도 있으나 사찰과 집 근처에서 흔히 자라며 오른쪽으로 감으면서 올라감. 잎은 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