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콩과

전동싸리 전동싸리(Melilotus suaveolens Ledeb.)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두해살이풀. 초목서(草木犀)·멜리토우스초라고도 한다. 중국 북부 원산이다. 저지대의 풀밭에 자란다. 풀 전체를 해열·안질·신장염 등에 약용한다. 꽃이 보다 작고 흰색인 것을 흰전동싸리(M. alba)라고 한다. 모두 목초자원으.. 더보기
제주달구지풀 제주달구지풀(Trifolium lupinaster for. alpinus (Nakai) M.Park)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에 분포한다. 잎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짧으며 5개의 소엽으로 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두에 예저이고 엽맥이 뚜렷하며.. 더보기
달구지풀 달구지풀(Trifolium lupinaster L.)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풀밭에서 흔히 자란다. 잎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짧으며 5개의 소엽으로 된 장상복엽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예두에 예저이고 엽맥이 뚜렷하며 길이 2-4cm, 폭 0.5-1cm이다. 잎뒷면의 주맥에 복모가 있으.. 더보기
서양벌노랑이 서양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L. var. corniculatus)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벌노랑이 꽃이 꽃자루에 1~3송이씩 피는 것에 비해 서양벌노랑이의 꽃은 3∼7송이씩 뭉쳐 피는 것이 다르다. 잎 잎은 3소엽으로 되며 소엽은 난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0.7-1.3㎝, 폭 3-8㎜이다. 탁엽은 .. 더보기
벌노랑이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Regel)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노랑돌콩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양지에서 자란다. 포기째 사료로 쓰거나 뿌리를 강장제나 해열제로 사용한다. 잎 잎은 호생하며 보통 5개의 소엽으로 구성 되지만 밑부분에 있는 2개의 소엽은 원줄기에.. 더보기
활나물 활나물(Crotalaria sessiliflora L.)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산과 들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식물의 지상부를 야백합(野百合)이라 한다. 이뇨제나 뱀독의 해독에 이용하며 항암성분도 있다. 잎 잎은 호생하며 단순하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 넓은 선형이거나 피침형이고 길이 4~.. 더보기
활량나물 활량나물(Lathyrus davidii Hance)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이나 들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어린 순은 식용하고, 뿌리는 지혈에 쓴다. 잎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으로서 엽축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타원형이고 .. 더보기
나비나물 나비나물(Vicia unijuga A.Braun)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에서 흔하게 자란다. 잎의 길이가 10cm, 폭이 5cm인 것을 큰나비나물(var. ouensanensis),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전체가 작은 것을 애기나비나물(var. kausanensis)이라고 한다. 잎 잎은 호생하며 한쌍의 소엽으로서 난형 또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