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1월 22일(토)
※ 코스: 화왕산 매표소- 관룡사-용선대-관룡산-정간재-진달래능선-화왕산성-화왕산-배바위-장군바위-자하곡 주차장 (약13km)
들머리: 09:00, 날머리: 16:00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과 고암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경상남도 중북부 산악지대에 있으며 낙동강과 밀양강이 둘러싸고 있는 창녕의 진산이다.
옛날 이 산은 화산활동이 활발하여 불뫼·큰불뫼로 불리기도 하였다. 그리 높은 산은 아니지만 낙동강 하류지역에 솟아 있어 실제보다 우뚝하게 보인다.
이 산은 억새밭과 진달래 군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상부에 5만여 평의 억새밭이 펼쳐져 있어 3년마다 정월대보름이 되면 정상 일대의 억새밭에서 억새태우기 축제가 열렸으나, 2009년 인명사고가 발생하여 폐지되었다. 매년 10월 초에는 화왕산 갈대제가 열린다. 억새는 습지에 사는 갈대와 구분되는 것으로 이 산의 정상에 서식하는 식생은 억새이다. 그러나 오래전부터 억새를 갈대로 불러왔던 지역의 전통에 따라 10월에 열리는 행사는 여전히 갈대제로 불리고 있다.
가장 빠른 산행길은 창녕여자중학교 옆길로 들어가서 동쪽으로 난 포장도로를 따라 자하골로 들어가면서 시작되는데 가파른 환장고개를 넘어 정상으로 오른다. 봄에 진달래를 보기 위해서는 옥천리 매표소를 기점으로 이어져 있는 관룡산의 관룡사에 들렀다가 관룡산 정상을 거쳐 이 산의 정상에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을 억새를 보기 좋은 코스는 창녕여자중학교를 거쳐 도성암을 지나 정상에 올랐다가 다시 창녕여자중학교로 하산하는 것이 좋다. 길게 잡아도 4시간 안팎이면 산행을 마칠 수 있다. 산 정상은 밋밋한 분지로 되어 있고 서면 관룡산과 영취산이 지척에 있으며 낙동강을 끼고 있는 평야와 영남알프스의 산들이 보인다.
600m 지대에는 화왕산성(사적 64)이 있다. 삼국시대부터 있던 성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곽재우의 분전지로 알려져 있다. 화왕산성의 동문에서 남문터로 내려가는 길 잡초더미 사이에 분화구이자 창녕 조씨의 시조가 태어났다는 삼지(三池)가 있다. 또한 산 정상의 서쪽 아래에는 조선 선조 이후에 축성되었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한 목마산성(사적 65)이 있다. 산의 서쪽 사면 말흘리에서 진흥왕의 척경비가 발견되었다. 남쪽 사면에는 옥천사가 있다. [출처: 두산백과]
가을은 떠나 보냈지만/용혜원
가을,
마냥 붙들고 있기에는
가슴이 시리도록 고독이 적셔와
꼭꼭 싸매어 놓았던
마음을 활짝 열었다
여름날 온 천지를 달군
뜨거운 태양의 열기 속에서도
가을은 한 발자국씩 발을 내밀더니
어느새 내 마음 한복판에 물들었다
갈대 끝에서 흔들리는 가을을
멀리서만 바라보기엔
내 가슴이 너무 저리다
이 가을엔 쓸데없는 애착만 가득해
붙잡고 있던 모든 것을
살짝 내려놓고
아무 소리 없이
고독에 푹 잠기고 싶다
가을비 내리던 날
가을을 떠나 보냈다
그러나 그리움은
아직 떠나 보내지 못했다
'산행 > 경상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양] 남덕유산 (0) | 2015.02.22 |
---|---|
[합천] 가야산 (0) | 2014.12.29 |
[산청] 지리산 천왕봉 (0) | 2014.02.23 |
[[함양] 남덕유산 (0) | 2014.01.25 |
[합천] 가야산 (칠불봉, 우두봉) (0) | 2013.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