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상 波狀 sinuate: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으로 들쑥 날쑥한.
판개약 瓣開葯 valvate anther: 여닫이 창이 열리듯 열개하는 꽃밥(녹나무과, 매자나무과).
판연 瓣緣 舷部 limb: 합판화관의 외연부로 판통(통부)과 판인(화후)을 제외한 부분.
판인 瓣咽 花喉 throat: 합판화관 통부의 목부분으로 판통(통부)와 판연(현부)와의 경계이다.
판통 瓣筒 tube: 합판화관의 아래쪽의 관상-종상인 부분.
편측생 便側生 secund: 한쪽으로만 치우쳐 달리는(꽃향유의 화서).
편평한 扁平 compressed: 양쪽이 눌려서 납짝하게 된.
평두 平頭 truncate: 끝이 편평한 평선인(백합나무의 잎).
평복성 平伏性 prostrate: 줄기가 지면을 기며 자라는.
평행맥 平行脈 parallel veined: 엽맥과 엽맥이 평항하게 달리는 것(화본과).
폐과 閉果 indehiscent fruit: 과피에 봉선이 없어서 열리지 않는 열매(반: 개과)로 건과(견과, 수과, 시과)와 육질과(장과, 핵과)가 있다.
폐쇄화 閉鎖花 cleistrogamous flower: 화관이 열리지 않고 자화의 암술과 수술로 수정을 하는 꽃(제비꽃, 개별꽃).
포 苞 bract: 꽃의 밑에 있는 작은 잎.
포간개열 胞間開裂 septicidal dehiscence: 삭과의 각방의 격벽을 따라서 갈라지는 것(진달래의 열매, 비: 포배개열).
포린 苞鱗 bract scale: 침엽수의 구과의 배주가 달리지 않는 인편, 또는 참나무과 총포(각두)를 이루는 작은 조각.
포막 苞膜 indusium: 고사리류의 포자낭군 즉 낭퇴를 덮고 있는 막편.
포배개열 胞背開裂 loculicidal dehiscence: 삭과의 각방의 등쪽을 따라서 갈라지는 것(개나리의 열매, 반: 포간개열).
포복성 匍匐性 creeping: 누어서 옆으로 생장하는.
포복경 匍匐莖 creeper, creeping stem: 지면을 포복하는 줄기.
포복지 匍匐枝 runner, stolon: 뿌리짬에서 나오는 가늘고 포복경(딸기, 달뿌리풀).
포영 苞穎 glumes: 벼과 식물의 포엽으로서 소수의 외부 즉 밑부분에 있는 소엽체로써, 외영과 내영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자 胞子 spore: 포자낭에서 포자모세포가 감수분열하여 만든 무성생식단위. 포자가 성숙하여 배우자체를 형성하고, 배우자체에서 배우자(난자와 정자)가 생산된다. 발달한 식물에서는 대포자와 소포자가 있어 각각 자성배우자체와 웅성배우자체를, 이들에서 각각 난자와 정자가 생산된다.
포자낭 胞子囊 sporangium: 포자낭을 만드는 주머니로 포자체의 줄기나 잎에 난다.
포자낭과 胞子囊果 sporocarp: 포자낭군이 완전히 주머니속에 쌓여 있는 것(네가래, 생이가래).
포자낭군 胞子囊群 sorus: 낭퇴.
포자수 胞子穗 strobilus: 포자낭이 붙어 이삭과 같이 보이는 것(석송, 쇠띄기).
포자모세포 胞子母細胞 spore mother cell: 포자낭 중앙부에서 감수분열하여 포자를 만드는 세포.
포충엽 捕蟲葉 insect-catching leaf: 食충식물이 곤충을 잡아 먹는 잎(끈끈이주걱, 통발).
폭상 輻狀 rotate: 통부가 짧고 현부가 방사상칭으로 넓게 벌어지져 수레바퀴의 모양을 한(분단나무, 봄맞이의 꽃).
표피 表皮 epidermis: 고등식물의 몸을 덮고 있는 한층의 세포층으로 체표의 보호와
수분의 증산을 방지하는 作用을 한다.
풍매화 風媒花 anemophilous: 바람에 의해 이루어지는 꽃가루받이.
피목 皮目 lenticel: 나무가지의 껍질에 있는 통기조직.
피층 皮層 cortex: 줄기나 뿌리의 표피 바로 안쪽에 있는 세포군.
피침 皮針 cortical spine: 표피가 변해 만들어진 가시(산딸기, 음나무).
피침형 披針形 lanceolate: 장타원형보다 좁고 양끝이 뾰족하게 된.
식물공부/식물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