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공부/식물용어

- 亞- sub-: 비슷함을 뜻하는 접두어. 아관목, 아원형, 아차상 등.  
아관목 亞灌木 suffrutescent: 초본이나 줄기의 기부가 다소 목본성인(더위지기).
아린 芽鱗 bud scale: 겨울눈을 구성하고 있는 비늘조각으로 어린 잎을 보호하는 구실을 한다.
악   calyx: 한 꽃안에서 꽃받침의 총칭.
악열편  裂片 calyx lobe, calyx segmnt: 악의 열편 조각.
악통  筒 calyx tube: 악의 하부가 서로 융합해서 이루어진 통(벗나무, 패랭이꽃).
악편(꽃받침)  片 sepal: 꽃의 가장 밖에서 꽃잎을 싸고 있는 조각(비: 악).
암꽃(雌花)  pistillate flower, female flower: 암술만 있고 수술이 없는 꽃.
암술(雌蘂) pistil, pistillum: 이생하는 하나 또는 합생한 여러개의 심피가 한 단위를 이룬 구조로,
                               자방(씨방), 화주(암술대), 주두(암술머리)로 이루어짐.
암술대 花柱 style: 암술에서 주두와 자방사이의 부위.
암술머리 柱頭 stigma: 암술의 끝으로 수분된 화분이 부착되는 곳.
액생 腋生 axillary: 잎짬. 잎자루와 줄기의 사이.
(꽃밥) 葯 anther: 수술의 끝에 화분을 담고 있는 주머니(소포자낭).
양성화 兩性花 perfect flower, bisexual flower: 한 꽃에 수술과 암술이 다 갖추어져 있는 꽃.
양체웅예 兩體雄蘂 diadelphous stamen: 1개를 제외한 나머지의 화사가 융합하여 전체적으로 2몸을 이루고 있는 수술(콩과).
역자 逆刺 restrose hairs: 끝이 밑을 향하는 가시(꼭두서니의 털).
역향 逆向 retrorse: 끝이 밑을 향하는.
연변 緣邊 margin: 잎이나 꽃잎의 가장자리.
유저 流底 decurrent: 엽신의 기부가 엽병을 짜라 점진적으로 좁아지는(초롱꽃).
열개 裂開 dehiscent: 꽃밥이나 열매가 저절로 갈라지는.
열개과 裂開果 dehiscent fruit: 열개하는 열매(골돌과, 삭과, 협과).
열매 果實 fruit: 자방이 성숙해 만든 생식기관으로 그안에 씨를 내장한다.
염주상 念珠狀 moniliform: 둥근 구조가 연결되어 염주의 모양인(염주괴불주머니 열매).
엽극 葉隙 leaf gap: 줄기의 중심주에서 유관속의 일부가 잎으로 들어가며 중심주에 남긴 공간.
엽두 葉頭 leaf apex: 잎의 끝부분(동: 엽선).
엽맥 葉脈 leaf vein, venation: 잎몸(엽신)안에 갈라져나간 유관속의 맥(주맥, 측맥).
엽병(잎자루) 葉柄 petiole: 잎의 자루로 엽신과 줄기를 이어준다.
엽서(잎차례) 葉序 phyllotaxy: 줄기에 잎이 달리는 차례 또는 상태.
엽선 葉先 leaf apex: 잎의 끝부분(동: 엽두).
엽설 葉舌 ligule: 엽초의 끝에 있는 돌기(화본과).
엽신(잎몸) 葉身 lamina, leaf blade: 잎의 편평하고 넓은 부분으로 엽병끝에 달린다.
엽액(잎짬) 葉腋 axil: 잎과 줄기 사이의 짬.
엽연 葉緣 leaf margin: 잎몸의 가장자리.
엽육 葉肉 mesophyll: 잎의 상표피와 하표피사이에 있는 유조직.
엽저 葉底 leaf base: 잎몸의 밑부분.
엽적 葉跡 leaf trace: 줄기의 중심주에서 갈라져 잎으로 들어가는 유관속.
엽초 葉  leaf sheath: 잎자루 또는 잎몸의 기부가 줄기를 감싼 것.
엽축 葉軸 rachis: 복엽에 있어 소엽이 붙는 중앙의 축.
엽침 葉枕 pulvinus: 엽병 기부가 비후되거나 잎이 달리는 줄기의 부위가 돌출한 구조(콩).
엽침 葉針 spine:  탁엽이 변해 만든 가시.
엽흔 葉痕 leaf scar: 잎이 탈락한 흔적.
영 穎 glumes: 포영.
영과 穎果 caryopsis: 과피가 종자에 밀착해서 떨어지지 않는 열매(화본과).
영양기관 營養器官 vegetative organ: 생식 이외의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줄기, 잎, 뿌리).
영양아 營養芽 vegetative bud: 잎이 되는 눈 즉 엽아(비: 화아).
영양엽 營養葉 sterile frond: 포자낭이 형성되지 않는 양치류의 잎(고사리삼).
예거치 銳鋸齒 serrate: 톱니의 끝이 예리한.
예첨두 銳尖頭 acuminate: 극히 뾰족한 끝으로 점첨두보다 덜, 첨두보다 더 뾰죽한 상태.
예두 銳頭 acute: 단순히 예각을 띠는 끝로 예첨두보다는 덜 뾰죽하다.
예저 銳底 acute: 뾰죽한 엽저.
완전화 完全花 complete or perfect flower: 꽃받침, 꽃잎, 수술, 암술의 네 부분을 다 갖춘 꽃.
외곡 外曲 recurved: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유: 반전, 반곡).
외과피 外果皮 epicarp: 과피의 외층.
외권성 外卷性 revolute: 엽신의 양 가장자리가 뒤쪽으로 말리는.
외배유 外胚乳 perisperm: 피자식물에서 배낭 이외의 부분인 珠心의 일부가 발달한 양분저장조직.
외영 外穎 lemma: 벼과 식물의 소수를 싸고 있는 포영중 밖앝에 있는 것.
외출 外出 exserted: 원통의 구조속에 어느 기관이 밖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는(반: 내포).
외향약 外向葯 extrorse anther: 봉선이 외측을 향한 꽃밥(목련속).
외향 外向 extrorse: 꽃의 중심부에서 밖을 향하는(반: 내향).
외화피 外花被 outer perianth: 2열의 화피가 있을 경우 밖앝에 위치한 화피.
용골판 龍骨瓣 keel, carina: 접형화관의 꽃잎 중에 최하부에 있는 2매의 꽃잎(콩과).
우모상 羽毛狀 plumous: 새의 깃털과 같은 모양.
우상돌기 尤狀突起 verrucose: 혹모양을 하는 돌기.
우상맥 羽狀脈 penniveins: 주맥에서 나온 측맥이 새의 깃털모양으로 나는 것(까치박달).
우상복엽 羽狀複葉 pinnately compound leaf: 소엽이 깃털모양(우상)으로 나는 복엽.
                   정단에 소엽의 유무에 따라서 있는 것을 기수우상복엽, 없는 것을 우수우상복엽이라함.
우상심열 羽狀深裂 pinnately parted: 잎몸이 우상으로 중맥 가까이까지 깊이 갈라지는.
우상 羽狀 pinnate: 주축에 양측으로 같은 크기와 간격으로 편평하게 어떤 구조가 붙거나 갈라져 깃털모양을 한.
우상전열 羽狀全裂 pinnatisect: 우편이 중맥까지 우상으로 갈라지는.
우상천열 羽狀淺裂 pinnatilobed: 우편이 우상으로 얕게 갈라지는.
우상첨열 羽狀尖裂 pinnatifid: 엽편이 우상으로 갈라지고 그 열편의 끝이 뾰죽한(민들레의 잎).
우수우상 偶數羽狀 evenly, equally, or abruptly pinnate: 정소엽이 없는 우상엽.
우열 羽裂 pinnatifid: 우상으로 갈라지는.
우편 羽片 pinna: 우상복엽에서 분열의 회수에는 관계없이 제일 작은 분편.
웅예(수술) 雄蘂 stamen: 암술과 꽃잎 사이에서 화분을 생산하는 기관, 소포자엽(반: 자예).
웅예선숙 雄蘂先熟 protandrous: 양성화에서 암술보다 수술이 먼전 성숙하는 현상(물봉선).
웅예통 雄蘂筒 staminal tube: 화사가 통모양으로 합착한 것(멀구슬나무).
웅화(숫꽃) 雄花 staminate flower, male flower: 수꽃.
원두 圓頭 round: 끝이 둥근 엽선.
원반형 圓盤形 discoid: 둥근 쟁반모양으로 상면이 평탄한.
원심적 遠心的 centrifugal: 중심에서 점차로 멀어지면서 일어나는(반: 구심적).
원저 圓底 round: 기부가 둥근 엽저.
원주형 圓柱形 terete: 둥근 기둥모양.
원추형 圓錐形 conical: 원뿔 모양.
원추화서 圓錐花序 panicle: 위로 갈수록 점점 좁아져 전체적으로 원뿔모양인 화서(광나무).
원통형 圓筒形 cylindrical: 원통의 모양.
원형 圓形 orbicular: 둥근 모양.
위과 僞果 pseudocarp, false fruit: 가과.
위인경 僞鱗莖 pseudobulb: 난과의 줄기가 불룩해져서 인경모양을 한 것(흑난초).
위포막 僞苞膜 false indusium: 잎의 가장자리가 뒤로 말려서 포자낭군을 덮어 포막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봉의꼬리, 고사리).
유경성 有莖性 caulescent: 지상경이 있는(반: 무경성).
유관 乳管 latex tube: 분필세포가 그물모양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유액을 함유하는 관.
유관 油管 oil tube, vitta: 열매에 홈에서 정유를 분비하는 관(미나리科).
유관속 維管束 vascular bundle: 물과 양분을 수송하는 관으로 물관과 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두상 乳頭狀 papillose: 젖꼭지 모양.
유리엽맥 遊離葉脈 free venation: 중앙맥에서 분지하여 망상을 이루지 않고 엽연에 연결되는 맥상(동: 개방차상맥).
유이화서  荑花序 ament, catkin: 거의 자루가 없는 단성화가 아래로 쳐진
                                  화축에 밀생한 이삭모양의 화서(버드나무, 자작나무, 호도나무).
유저 流底 attenuate: 엽신이 엽병을 따라 내려와 날개 모양으로 된 엽저.
유점 油點 腺點 pellucid dot: 잎이나 화피에 보여지는 검은 또는 투명한 점으로 유적을 분비한다(운향과, 물레나무과).
유착 癒着 connivent: 같은 단위가 서로 붙어 있어 있거나(동착) 다른 단위가 붙어 있되(이착) 완전히 융합된 것은 아닌.
유합 癒合 fused: 같은 단위가 서로 붙어 있어 있거나(동합) 다른 단위가 붙어 있되(이합) 완전히 융합된.
육수화서 肉穗花序 spadix: 육질로 비후한 기둥모양의 화축에 꽃이 빽빽이 달린 화서(천남성과).
육아 肉芽 fleshy bud: 주아(말똥비름, 혹쐐기풀).
육질 肉質 succulent, fleshy: 즙액을 함유하여 다육비후한(선인장).
육질과 肉質果 fleshy fruit: 과피가 육질인 열매(장과, 핵과, 취과, 다화과)
육질종피 肉質種皮 肉質種衣 aril, arillate:  종피가 다육성인(주목).
윤상 輪狀 rotate: 바퀴모양(큰꽃의아리).
윤생 輪生 whorled, verticillate: 2개이상이 한 마디에 돌려 나는(비: 호생, 대생).
융모 絨毛 villous: 길이가 일정치 않은 털이 서로 엉켜 융단과 같이 된.
의저 歪底 oblique: 좌우상칭이 아니어서 일그러진 모양의 엽저(팽나무).
은두화서 隱頭花序 hypanthodium: 화서의 축 부분이 발달해서 항아리모양으로 되고 그 내면에 많은 꽃이 달리는 화서(무화과).
은화과 隱花果 syconium
: 은두화서가 성숙해 만들어진 다육성 열매.
이강웅예 二强雄蘂 didynamous stamen
: 4-5개의 수술중 2개가 길고 나머지는 짧은 수술(꿀풀과, 현삼과).
이과 梨果 pome: 자방 외부에 화탁과 꽃받침통이 유합하여 다육화된 열매(사과, 배).
이년생초본 二年生草本 biennial herb: 발아하여 개화결실하고 고사하는 데 1年이 걸리는 식물.
이생 離生 free, distinct: 같은 또는 다른 기관이 서로 유합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반: 합생).
이생심피 離生心皮 apocarpous: 하나의 꽃에서 심피가 각각 분리하여 있는 것(미나리아재비).
이저 耳底 auriculate: 귀모양으로 처진 엽저.
이판화 離瓣花 polypetalous flower: 꽃잎이 한 장 한 장 떨어져 있는 갈래꽃(반: 합판화).
이피핵과 異皮核果 tryma: 외피는 연하거나 단단한 섬유질이고 내피는 골질로 되는 핵과(호두나무).
이착 異着 adherent: 다른 기관끼리 붙어 있되 완전히 융합되진 않은(비: 이착).
이합 異合 adnate: 다른 기관끼리 완전히 유합한(개나리의 수술과 꽃잎, 비: 동합).
이형엽 異形葉 dimorphic leaf: 동일개체에 모양이 다른 잎을 가지고 있는 것(매화마름).
이형 耳形 auriculate: 귀모양.
이형포자성 異形胞子性 heterosporous: 포자에 암수가 있어 대포자와 소포자를 만든 현상(부처손).
이화주성 異花柱性 heterostyly, heterostylism: 같은 종에서 암수술의 길이가 서로 다른 현상. 이의 가지 수에 따라 2화주성과 3화주성이 있다(개나리, 괭이밥).
이화주성 二花柱性 distyly: 한 종에 긴 암술과 짧은 수술을 갖는 꽃(장주화)와 짧은 암술과
          긴 수술을 갖는 꽃(단주화)이 있는. 장주화와 단주화 사이에서만 수분이 이루어져 열매를 맺는다.
익판 翼瓣 alate, wing: 접형화관에서 양측에 있는 2개의 꽃잎으로 기판과 용골판 사이에 있다(콩과).
인경 鱗莖 bulb: 비늘조각 모양을 한 땅속에 있는 짧은 줄기(양파, 튜립).
인엽 鱗葉 scale leaf: 인편모양의 작은 잎(측백나무, 편백의 잎).
인편 鱗片 scale: 인편상의 조각 같은 구조.
인편상 鱗片狀 scaly: 작고 얇은 비늘 모양의.
일년생 一年生 annual: 식물체가 1년 밖에 생존할 수 없는.
일년생초본 一年生草本 annual herb: 1연내에 식물체의 세대를 완전히 끝내는 풀.
임성 稔性 fertile: 생식기능이 있는(반: 불임성, 중성).
(葉) leaf: 줄기의 마디에 나는 편평하고 녹색인 구조로 광합성과 증산작용을 한다.  
              종에 따라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되기도 한다.
잎몸(葉身) leaf blade: 잎의 자루끝에 달린 넓은 부분.
잎자루(葉柄) petiole: 잎몸을 달고 있는 자루.

'식물공부 > 식물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1.04.26
  (0) 2011.04.26
  (0) 2011.04.26
  (0) 2011.04.26
  (0) 2011.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