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옥잠화 (Clintonia udensis Trautv. & C.A.Mey)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
제비옥잠화라고도 하며 깊은 산의 나무그늘에서 자란다. 어린 순은 식용한다.
제주도·경상남도·강원도(금강산)·평안북도(낭림산)·평안남도(묘향산)·
함경남도(부전고원)·함경북도(관모봉·백두산) 등지에 분포한다.
잎 | |
잎은 모두 근생엽으로 2-5개이고 긴 타원형으로서 녹색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20-30cm, 폭 2.5-7cm로서 처음에는 연모가 있으나 없어진다. 잎의 앞뒷면에는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급첨두(急尖頭)에 설저(楔底)이고 밑은 엽초로 되며 후기에는 자루로 연장된다. | |
열매 | |
열매는 초기에 장과 모양이며 7-8월에 남색으로 익고 난원형으로 지름 1cm가량이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4mm, 지름 2mm정도로서 갈색이다. | |
꽃 | |
꽃은 6-7월에 피고 화경(花梗)은 높이 20-70cm로서 잎이나 가지가 없으나 간혹 가지가 1개 달리기도 하며 끝에 2-12개의 백색꽃이 총상으로 달리고 화서에 털이 있다. 포는 일찍 떨어지며 길이 6-8mm로서 넓은 선형이고 가지에 털이 있으며 꽃이 핀 다음 약간 자라서 길이가 1-4cm로 되고 위로 비스듬히 퍼진다. 꽃잎은 6개이며 옆으로 퍼지고 길이 12-15mm로서 좁은 타원상 둔두이며 5-7맥이 있다. 수술은 6개로서 꽃잎밑에 붙으며 꽃밥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2mm이며 수술대는 길이 5-6mm이다. 암술대는 3갈래이며 자방은 3실이다. 꽃이 핀 다음 화경이 길게 자라고 동시에 소화경도 길어지며 각각 짙은 남색의 열매가 달린다. | |
뿌리 | |
근경은 짧고 비스듬히 자라며 수염뿌리가 뭉쳐 내린다. 근경 머리에는 섬유상의 엽초 흔적이 남아 있다. | |
원산지 | |
한국 | |
분포 |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 |
형태 | |
다년초이다. | |
크기 | |
화경(花梗)은 높이가 20-80cm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