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죽과

갯장구채 갯장구채(Silene aprica var. oldhamiana (Miq.) C.Y.Wu)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바닷가에서 자란다. 털장구채에 비해 전체에 짧은 털이 많다.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도·전라남도·전라북도·경상남도·경상북도·황해도 등지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갯장구채(for. al.. 더보기
애기장구채 애기장구채(Silene aprica Turcz. ex Fisch. & C.A.Mey.)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잎 잎은 대생하며 선상 피침형,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길이 2-8cm, 폭 2-15mm로서 끝이 뾰족하다. 열매 삭과는 6-7월에 익고 난형이며 길이 6-8mm로서 끝이 6조각으로 터진다. 종자는 신장형이고 지름 .. 더보기
끈끈이장구채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한해살이풀.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충청남도(안면도)·강원도·평안북도·함경남도·함경북도 등지에 분포한다. 잎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양끝이 좁고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엽액에 잎이 밀생한 짧은 가지.. 더보기
분홍장구채 분홍장구채(Silene capitata Kom.)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양지쪽 바위틈에서 자란다. 잎 잎은 대생하며 긴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길이 1-4cm, 나비 4-16m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 포와 연결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 더보기
울릉장구채 울릉장구채(Silene takeshimensis Uyeki & Sakata)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바위면에서 자란다. 한국에는 울릉도에 분포한다. 잎 잎은 대생하고 선상 피침형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6-9cm, 폭 7-10m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양면에 털이 없으나 가장자리에는 돌기같은 연.. 더보기
오랑캐장구채 오랑캐장구채(Silene repens Patrin)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 초원에서 자란다. 민간에서 부종 ·최유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잎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3-5cm, 폭 3-8mm로.. 더보기
양장구채 양장구채(Silene gallica L.)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잎 잎은 마주나며, 근생엽 주걱형 또는 도피침형, 경생엽 피침형. 길이 1.5~4cm, 나비 2~8mm, 거치없고, 빳빳한 털이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열매 3실, 종자 지름 1mm, 오글쪼글한 주름이 져있다. 꽃 꽃은 총상화서.. 더보기
가는다리장구채 가는다리장구채(Silene jenisseensis Willd)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기슭에서 자란다. 흰장구채에 비해 꽃이 작고 뿌리잎은 좁고 길다. 잎 근생엽은 총생하고 원줄기에서는 대생하며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7-13cm, 폭 2-7mm이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