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범의귀과

개병풍 개병풍(Astilboides tabularis (Hemsl.) Engl.)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골병풍이라고도 한다. 깊은 산 골짜기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어린 잎은 식용한다. 잎 근생엽은 방패모양으로 큰 것은 지름이 80cm에 달하고 가장자리가 7개 정도로 얕게 갈라지며 잔톱니가 있고 장상으로 .. 더보기
헐떡이풀 헐떡이풀(Tiarella polyphylla D.Don) 범의귀과의 다년초 산골짜기의 습지에서 자란다. 한방에서 이 풀을 천식에 사용하였기 때문에 헐떡이풀이라고 부른다. 잎 근생엽은 총생하며 심원형이고 가장자리가 얕게 5개로 갈라지며 둔한 톱니가 있고 길이와 폭이 각 2-7cm로서 표면에 긴 털이 있으며 .. 더보기
나도승마 나도승마 (irengeshoma koreana Nakai)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한국 특산종으로서 전라남도 백운산에서만 자란다. 잎 잎은 대생하며 엽병은 밑부분의 것은 길지만(길이 14.5cm) 윗부분의 것은 없어지고 엽신과 더불어 복부(腹部)로 붙어 있는 털이 많음 엽.. 더보기
숙은노루오줌 숙은노루오줌 (Astilbe koreana (Kom.) Nakai)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조선홍승마(朝鮮紅升麻)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원추꽃차례가 옆으로 처지기 때문에 숙은노루오줌이라고 한다. 어린 순은 식용하고 뿌리는 벌레독에 약용한다. 잎 잎은 호생하고 근생엽은 엽병.. 더보기
노루오줌 노루오줌 (Astilbe rubra Hook.f. & Thomson var. rubra)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큰노루오줌이라고도 하며 산지의 냇가나 습한 곳에서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로 하고 포기 전체를 약용한다. 잎 잎은 호생하고 3개씩 2-3회 갈라지며 엽병은 길고 정소엽은 긴 난형 또는 난상 긴 타.. 더보기
도깨비부채 도깨비부채 (Rodgersia podophylla A.Gray)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우·작합산·수레부채라고도 한다. 깊은 산에서 자란다. 한국(경북·강원·평북·함남·함북)·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잎 잎은 장상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5소엽으로서 큰 것은 지름 50cm에 달.. 더보기
돌단풍 돌단풍 (Mukdenia rossii (Oliv.) Koidz)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돌나리라고도 하며 물가의 바위 틈에서 자란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 잎은 근경의 끝이나 그 근방에서 1-2개씩 포린(苞鱗)에 싸여 나오지만 여러개가 한 곳에서 나온 것처럼 보이며 길이 .. 더보기
바위떡풀 바위떡풀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Engl. & Irmsch.) Nakai)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광엽복특호이초(光葉福特虎耳草)라고도 하며 습한 바위에 붙어서 자란다. 잎 표면에 털이 약간 있는 것은 지리산바위떡풀(var. koraiensis), 잎자루에 털이 많은 것을 털바위떡풀(var. pilo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