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 병풍쌈 병풍쌈(Parasenecio firmus (Kom.) Y.L.Chen)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의 숲 속에서 자란다. 식물체에 독특한 향기가 있으며 어린 식물체는 나물로 먹는다. 잎 근엽은 엽병이 길고 원형으로 지름이 35~100cm이며 밑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11~15개로 얕게 갈라.. 더보기 삽주 삽주(Atractylodes ovata (Thunb.) DC.)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창출(蒼朮)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발한·이뇨·진통·건위 등에 효능이 있어 식욕부진·소화불량·위장염·감기 등에 사용한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비슷한 종.. 더보기 껄껄이풀 껄껄이풀(Hieracium coreanum Nakai)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넓은잎조밥나물·고려조팝나물·조선산유국(朝鮮山柳菊)이라고도 한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어린 순을 먹는다. 민간에서는 풀 전체를 가래 제거, 이뇨 등의 약재로 사용한다. 한국 특산식물로 함경남도(부전.. 더보기 개씀배 개씀배(Prenanthes tatarinowii Maxim.)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씀바귀아재비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여름의 사료작물이다. 잎 밑부분의 잎은 길이 22-24cm이고 엽병은 길이 9-11.5cm로서 날개가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지 않고 윗부분에 2개의 긴 타원상 열편이 .. 더보기 왕씀배 왕씀배(Prenanthes ochroleuca (Maxim.) Hemsl.)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山地)에서 난다.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나, 밑부분에서 난 잎은 길이 19cm로서 깊게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은 난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중앙열편.. 더보기 산비장이 산비장이[山─] (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Iljin) Kitam. for. insularis)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라며 어린순은 나물로 한다.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거나 남아 있고 난상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은 6-7쌍.. 더보기 뻐꾹채 뻐꾹채(Rhaponticum uniflorum (L.) DC.)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뻑꾹나물·대화계·루로라고도 한다. 건조한 양지에서 자란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는다. 말린 뿌리는 만성 위염에 효과가 있다.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상 타원형 또는 .. 더보기 민박쥐나물 민박쥐나물(Parasenecio hastata subsp. orientalis (Kitam.) H.Koyam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의 초원에서 무리 지어 자라며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잎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며 3각형 또는 창모양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길이 .. 더보기 이전 1 2 3 4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