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불초[金佛草]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
습지에서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 또는 국거리로 식용한다. 생약의 선복화(旋覆花)는 이 꽃을 말린 것으로
거담·진해·건위·진토(鎭吐)·진정 등의 효능이 있다.
전초와 뿌리도 각각 금불초·금불초근이라 하여 약용한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를 많이 치는 것을 가지금불초(var. ramosa)라고 한다.
잎 | |
근엽은 보다 소형으로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5~10cm, 나비 1~3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갑자기 좁아져 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누운털이 있거나 없다. | |
열매 | |
과실은 수과로 10개의 능선과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5mm이다. | |
꽃 | |
꽃은 7~9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두화는 지름 3~4cm이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포편은 5열로 배열하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 |
줄기 | |
줄기는 곧추 서있고 누운털이 있거나 없다. | |
뿌리 | |
근경이 뻗으면서 번식한다. | |
원산지 | |
한국 | |
분포 | |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 |
형태 | |
다년초로 여러해살이풀이다. | |
크기 | |
높이 20~60cm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