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공부/초본류

개미취

개미취(Aster tataricus L.f.)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자원·소판·협판채·산백채·자완·자와라고도 한다. 깊은 산속 습지에서 자생하나 재배하기도 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한방과 민간에서는 뿌리와 풀 전체를 토혈·천식·폐결핵성 기침·만성기관지염·이뇨 등에 처방한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며 잘 자란 것은 길이 65cm, 나비 1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큰 것은 길이 20-31cm, 나비 6-10cm로서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흔히 엽병으로 흘러 날개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0cm이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도 거의 없어진다.
    열매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6mm정도이다. 10-11월에 결실한다.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2.5-3.3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1.5-5cm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7mm, 나비 13-15mm이며 포는 3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건막질이다. 설상화는 길이 16-17mm, 나비 3-3.5mm로서 하늘색이다.
    줄기
높이 1-1.5m이지만 재배한 것은 2m에 달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짧은 털이 있다.
    뿌리
근경이 짧으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생 초본
    크기
높이가 1-1.5m, 폭 2.5-3.3㎝정도 된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식물공부 > 초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좀개미취  (0) 2010.01.03
벌개미취  (0) 2010.01.03
수리취  (0) 2009.12.31
산골취  (0) 2009.12.31
좀딱취  (0) 2009.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