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공부/초본류

풀솜대

풀솜대 (Smilacina japonica A.Gray var. japonica)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지장보살, 솜대·솜죽대·녹약이라고도 하며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사지마비·생리불순·종기·타박상에 약용한다. 잎의 길이가 15cm, 나비가 6∼10cm인 것을 왕솜대(var. mandshurica)라고 한다.

 

 

 

 

 

 

 

 

 

 

 

 

 

   
잎은 호생하며 5-7개가 2줄로 배열되고 길이 6-15cm, 폭 2-5cm로서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예두(銳頭)로 되고 밑부분은 원저(圓底)이다. 밑부분의 잎은 짧은 엽병이 있으나 위로 가면서 점차 없어지며 양면에 거센 털이 있고 특히 뒷면에 많다.
    열매
장과는 둥글며 적색으로 익는다.
   
꽃은 양성으로서 5-7월에 피며 백색이고 원줄기끝이 복총상화서를 형성하며 화서에 털이 많다. 화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mm, 폭 1.5mm정도로서 둔두이며 소화경은 길이 2-5mm이다.
    줄기
원줄기는 비스듬히 20-50cm정도 자라고 위로 올라갈수록 털이 밀생한다. 원줄기 밑부분에 3개 정도의 투명한 막질부가 있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뿌리
근경은 원주형으로서 옆으로 뻗고 지름 4-7mm이며 불룩한 여러개의 마디가 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이다.
    크기
높이 20-50cm로 자란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식물공부 > 초본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방울꽃  (0) 2008.04.02
자주솜대  (0) 2008.04.02
큰연영초  (0) 2008.03.31
연영초  (0) 2008.03.31
큰애기나리  (0) 2008.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