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방망이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구설초(拘舌草)·풀솜나물이라고도 하며 건조한 양지에서 자란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꽃 부분을 거담제로 사용한다. 전체가 거미줄 같은 흰 털로 덮여 있어 솜방망이라고 부른다.
잎 | |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퍼지고 개화기까지 남아 있으며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cm, 나비 1.5~2.5cm로서 끝은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잔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많은 솜털로 덮여 있기 때문에 솜방망이라고 한다.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고 기부의 잎은 도피침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7-11cm, 나비 1-1.5cm로서 반 정도 원줄기를 얼싸 안으며 밑으로 흐른다. | |
열매 | |
수과는 길이가 2.5mm이며, 원통형이고 털이 밀생한다. 관모는 길이 11mm로 설백색이 난다. | |
꽃 |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3-4cm로서 3-9개가 산방상 또는 산형 비슷하게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5cm로서 백색 털로 덮여 있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8mm, 폭 11mm이며 포린은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고,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는데 길이가 12-16mm, 폭은 2~3mm로 황색이다. | |
줄기 | |
높이 20~65cm이며 곧게 자라고, 원줄기는 화경상花莖狀으소서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며 자줏빛이 돈다. | |
뿌리 | |
잔뿌리가 사방으로 내린다. | |
원산지 | |
한국 | |
분포 | |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 |
형태 |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 |
크기 | |
높이 20-65cm [출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