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취
수리취(Synurus deltoides (Aiton) Nakai)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떡취·산우방(山牛蒡)·개취라고도 한다. 산지의 양지에서 자란다.
어린 잎을 떡에 넣어 먹는데, 단오의 절식(節食)인 수리취절편이 유명하다.
또한 성숙한 잎은 말려서 부싯깃으로 사용한다. 풀 전체를 지혈·부종·토혈 등에 약용한다.
잎이 깃처럼 갈라지는 것을 국화수리취(S. palmatopinnatifidus var. indivisa)라고 한다.
잎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거나 남아 있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길이 10-20cm로서 표면에 꼬불꼬불한 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0-25cm로서 좁은 날개가 있거나 없다.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지고 엽병도 점차 짧아진다.
열매
수과는 길이 7mm정도이며 관모는 길이 18mm정도로서 갈색이다.
꽃
꽃은 9-10월에 피며 지름 5cm정도로서 원줄기 끝 또는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이 필 때는 밑을 향한다. 총포는 둥글며 길이 3cm, 지름 4.5-5.5cm로서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있고 갈자색 또는 흑록색이며 포편은 여러 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날카롭고 외편이 짧다. 화관은 길이 20mm정도로서 겉이 자주색이다.
줄기
높이 40-100cm로 길며 원줄기는 굵고 종선이 있으며 백색 털이 밀생한다. 윗부분은 가지를 적게 치며 암자색을 띤다.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40-100cm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