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공부/초본류
갈퀴덩굴/참갈퀴덩굴
갯버들*
2009. 2. 2. 19:05
갈퀴덩굴(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
쌍떡잎식물 용담목 꼭두선이과의 두해살이 덩굴식물. |
가시랑쿠라고도 한다. 길가 또는 빈 터에서 흔히 자란다. 봄에 어린 순을 나물로 해서 먹는다.
한방에서 7~9월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산완두(山豌豆)라 하며, 타박상 및 통증·신경통·임질의
혼탁뇨·혈뇨·장염·종기·암종(癌腫)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잎 | |
잎은 6~8개씩 윤생하고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길이 1~3cm, 나비 1.5~4mm이며 끝은 짧은 까락으로 끝나고 밑은 점차 좁아진다. 가장자리와 뒷면 중륵에 밑을 향한 잔 가시가 있다. | |
열매 | |
과실은 분과로 2개가 함께 붙어 있으며 갈고리 같은 딱딱한 털로 덮여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 |
꽃 | |
꽃은 5~6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고 가지 끝이나 잎짬에 취산화서로 달린다. 화관은 4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4개이다. | |
줄기 | |
줄기는 식물체에 기대서 올라가고 네모가 지며 능선에 밑을 향한 잔 가시가 있다. | |
분포 | |
전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코카사스, 중앙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 |
형태 | |
1~2년초 | |
크기 | |
길이 60~90cm이다. |
▼참갈퀴덩굴(Galium koreanum (Nakai) Nakai)
쌍떡잎식물 꼭두선이목 꼭두선이과의 여러해살이풀. |
산과 들에서 자란다. 이것이 진정한 갈퀴덩굴이란 뜻이지만 다른 갈퀴덩굴들이 가짜 갈퀴덩굴이란 뜻은 아니다.
잎 | |
잎과 탁엽은 모양이나 크기가 같으며, 4개씩 윤생하고 피침형 도는 도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1.5~2cm, 폭 7~12mm로서 가장자리에 위를 향한 깔깔한 돌기 같은 털이 있으며 3개의 맥이 뚜렷하고 기부는 좁아지면서 짧은 엽병을 이룬다. | |
열매 | |
분과이며, 열매에 위를 향한 가시털이 밀생한다. | |
꽃 | |
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2mm정도로서 백록색이고 3-5개가 가지 끝이나 엽액에 취산상으로 달리며 꽃잎은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수술보다 길다. 수술은 4개이며 암술대는 밑부분에서 2개로 가라지고 암술머리는 두상이며 자방에 유두상의 돌기가 있다. | |
줄기 | |
밑부분에서 총생하며 높이 6-15cm이고 네모가 지며 털이나 가시가 없고 옆으로 기거나 곧게 선다. | |
원산지 | |
한국 | |
형태 | |
다년초 | |
크기 | |
높이 6-15cm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