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귀풀
자귀풀(Aeschynomene indica)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합맹(合萌)·수고맥(水固麥)·경통초(梗通草)·전비각(田鼻角)·거몰자라고도 한다. 습지에서 자란다.
잎이 자귀나무처럼 밤중에는 접히기 때문에 자귀풀이라고 한다.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쓰이며 종자와 풀 전체를 차 대용으로 마신다.
잎
잎은 엽병이 짧고 20-30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선상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길이 10~15mm, 폭 2~3.5mm로서 뒷면이 분백색이다. 탁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7-12mm로서 약간 윗부분에 달린다.
열매
열매는 협과로 대개 털이 없고 편평한 선형이며 길이 7~8mm의 대와 더불어 길이 3-5cm, 나비 5mm이고 6-8개의 마디가 있으며 익으면 마디사이의 양쪽에 주름이 생긴다.
꽃
총상화서는 엽액에 달리고 1-2개의 잎과 2-3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7월에 피고 길이 1cm정도로서 황색이며 포는 탁엽과 비슷하지만 보다 작고 소포는 꽃받침 밑부분에 달리며 녹색이다. 꽃받침은 밑부분에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5mm정도로서 막질이다.
줄기
높이 50-80cm로서 줄기는 연하고 윗부분은 속이 비어 있으며 흔히 원줄기, 엽축 및 화경에 반구형의 기반이 있는 잔털이 드문드문 돋는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 처.
형태
1년생 초본
크기
높이 50-80cm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