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공부/초본류

콩짜개란

갯버들* 2008. 3. 18. 11:11

콩짜개란 (Bulbophyllum drymoglossum Maxim. ex Okub)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늙은 나무 줄기와 바위 표면에 붙어 자란다.  민간에서 식물체 전체를 출혈 및 악창에 사용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이며 길이 7-13mm, 나비 5-10mm로서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 뽀족해지며 언듯 보기에 콩짜개덩굴같다
    열매
삭과는 도란형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잎 옆에서 가는 화경(花梗)이 나와 연한 황색 꽃이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옆을 향해 달리고 화경은 길이 7-10mm로서 밑부분에 포엽이 달리며 포는 길이 1.5mm정도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7-8mm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꽃받침 길이의 1/3정도이다. 순판은 난상 피침형으로서 밑부분이 암술대 밑의 꼬부라진 부분과 연결되고 암술대 양쪽은 날개 같으며 화분괴(花粉塊)는 2개이다.
    줄기
원줄기는 철사처럼 가늘고 2-3마디마다 1개의 잎이 달리며 구경이 없다.
    뿌리
잎이 난 곳에서 1개씩 내린다.
    원산지
한국
    형태
상록 다년초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