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공부/초본류
금새우난초
갯버들*
2008. 3. 8. 22:57
금새우난초 (Calanthe discolor for. sieboldii (Decne.) Ohwi)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금새우란, 금새우난이라고 하며 산의 숲속에서 자란다.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다.
잎 | |
잎이 다음해 봄에 교체된다. 잎은 밑부분에서 2-3개가 나와 밑부분이 초상엽으로 싸여 섰다가 점점 벌어지며 주름살이 많고 길이 20-30㎝, 나비 5-10㎝로서 넓은 타원형이다. | |
열매 | |
열매는 삭과이고 밑으로 처진다. | |
꽃 | |
꽃은 4-5월에 피며 황색이고 화경(花莖)은 잎이 완전히 자라기 전에 잎속에서 자라 높이가 40㎝정도로 되며 1-2개의 포엽이 있다. 포는 피침형이고 길이 5-10mm로서 건막질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잎은 난상 타원형으로서 길이 23-30mm, 나비 7-13mm이고 꽃잎은 꽃받침보다 다소 작다. 순판은 황색이며 삼각상 선형(扇形)으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 기부에 3줄의 돌기가 있으며 중앙열편은 끝이 오목하게 파지고 뾰족한 것은 갈라지지 않는다. 거(距)는 길이 5-7mm로서 꽃잎보다 짧다. | |
뿌리 | |
근경은 기고 염주모양, 수염뿌리가 많다. | |
원산지 | |
한국 | |
형태 | |
다년생 초본 | |
크기 | |
화경(花莖)은 높이 40cm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