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향이야기

삼선리(三仙里) 독지리(禿旨里), 비살곶리(斐山串里) 일부, 건지암리(巾之岩里) 일부를 합쳐서 삼선리가 되었다. 1911년 통합 당시 3개리의 명칭 중 마땅한 것이 없어서 삼선리라 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 독지리에는 독지리(무지니), 강촌(姜村), 안골(安谷), 외곡동(外谷洞)이 있다. ▼ 독지리: 무지니 이 마을 앞에 5개의 바위가 서 있었는데 바위가 서 있는 위치가 다섯손가락처럼 생기고 바위끝에 손톱처럼 생긴 모양새가 무지러진 모양새같다 하여 무지니라 전해지고 있다. ▼ 안골 이 마을은 무지니 북쪽 구릉 안에 있는 마을로 외진 곳이었는데, 옛날 나라 안에서 분란이 일어나도 바람잔 곳이며 또 동네 앞까지 조수(潮水)가 차서 더욱 인적이 드문 곳이라 안골이라 전해지는데 이 마을어귀에는 지금도 굴깍지가 붙은 바위가 박.. 더보기
고구리(古龜里) 본래의 교동군은 동서남북면 및 송가면이 있었으나 1911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2개면으로 되었을 당시 동면 고읍리(古邑里)와 구산리(龜山里)를 합쳐서 고구리로 명칭하였다. ▼ 고구2리 전경 ▼ 화개산 정상에서 바라 본 고구리 전경 ▼ 고구2리 ▼ 고구2리의 생결마을(송결) ▼ 고구2리의 영산마을 ▼ 고구1리 전경 ▼ 고구1리의 독구개 마을 ▼ 고구저수지 전경 ■ 구산리에는 양지동(陽地洞)과 고양동(皐陽洞), 송계동(松溪洞), 영산동(靈山洞)이 있다. 양지동에는 양지편 기름재, 고랑멀이 있고 고양동은 가장골을 말하며 영산동은 그대로 영산을 말한다. 영산을 연산골이라고도 한다. ⊙ 구산리 구산리는 뒷산 형국이 거북이 형상이라 해서 구산리(구사니)라 전해지고 있다. ⊙ 양지동 이 동네에는 양지바르다고 하는 양지.. 더보기
봉소리(鳳韶里) 이 마을에는 봉산(鳳山과 황산(凰山)이 있고 소추동(韶箒洞)이 있다. 1911년 면, 리, 통폐합 때에 봉자와 소자를 따서 말곳리를 봉소리로 개칭하였다. ■ 말곳리에는 종현(宗峴), 무수(舞袖), 도통(道通), 신곡(薪谷), 홍현(紅峴), 호두포(虎頭浦), 소추동(韶 箒洞)이 있다. ▼ 종현(宗峴): 종머루 종반이씨골. 전주 이씨가 많이 산다고 하여 종현 종마루라고 하던 것이 종머루로 전해지고 있다. ▼ 도통(道通): 되투리 옛날 이 마을에 학자가 많이 살아 도(道)에 통한 사람이 많이 산다고 하여 도통리라 하였는데 지금은 되투리로 전해지고 있다. ▼ 상룡리 뚱구지에서 바라본 되투리 마을 ▼ 큰말 ▼ 작은말 ▼ 보루개 ▼ 신곡(薪谷): 신골 이 마을은 나무가 우겨져 숯을 굽던 곳이어서 신골이라 하였다는데.. 더보기
상룡리(上龍里) 상룡리는 옛날 상방리(上坊里), 용정리(龍井里) 일부를 합쳐서 상룡리로 이름하였다. ■ 상방리에는 월정동(月井洞), 법장동(法杖洞), 부고동(浮鼓洞), 탄현동(炭峴洞)이 있다. ⊙ 월정동: 달우물, 다릿멀 이 마을에는 우물이 있는데 달이 뜨면 달빛이 우물에 비쳐서 매우 아름답다 하여 월정(月井)이라 하였는데 월정을 달우물이라 했고 지금은 달우물이 와전되어 다릿멀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 달우물 ⊙ 법장동(法杖洞): 법재 옛날에는 이 마을에 대추나무가 많았는데 승려들이 이 나무로 지팡이를 만들었다 하여 법장이라 했고, 또 옛날 현감이 있을 때 이곳에 사법관청에서 일을 보는 사람들이 살았다 하여 법장이란 설도 있다. ▼ 부고동(浮鼓洞, 뜬북): 뜬고지, 뚱구지 이 마을에 부고산이 있는데 뜰부(浮)자와 북고(.. 더보기
읍내리(邑內里) 읍내리는 행정구역이 개편되기 이전 남면에 속하였다. 읍내리에 있는 옛 북문의 좌우편을 영마루라 하는데 영마루 남형기지를 인조 7년 (1629)에 읍지로 정하면서 부터 읍내리라고 부르게 되었다. 인조 7년에 수영을 월곳진( 현 읍내리)에 이설하면서 현을 부로 승격시키고 수군절도사 겸 도호부사를 두었다. 이로써 읍내리로 호칭하였다. ▼ 위성으로 본 읍내리 ▼읍내리 전경 ▼ 화개산 정상에서 바라 본 읍내리 ▼ 남산포 ▼ 남산포에서 바라본 일출 ▼ 삼도수군 통어영지(남산포 위치) 경기, 충청, 황해 삼도의 수군을 통찰하는 관청으로 통어사가 관제하고 경기수군 절도사와 겸직하여 종2품으로 보직하게 되었다. 현재 그 자취는 간곳이 없다. ▼ 남문 교동읍성 3문 중의 하나인 남문으로 유양루(瘐亮樓)라 불렀으며 1921.. 더보기
대룡2리(大龍二里) ▼ 위성으로 본 대룡2리 ▼ 대룡2리 전경 ▼ 화개산에서 바라본 대룡2리 전경(1994. 2. 27) ▼ 저 멀리 양갑리앞 들판이 말끔이 경리정리 된 모습 (2009. 1. 24) ▼ 장승마루 이 고장에는 목장생이 있어 이 고갯길에 장승(長丞) 장생이 금정산록에 세워져 있었다. 최근에도 고풍을 되살려 주요 지점에 장생을 세우고 민가가 있다는 표시를 하고 있다. 천하대장군 지하여장군이라고 써서 세우고 옛날이나 지금도 한마을(한고을) 입구나 사찰로 들어가는 입구에 세워둔다고 한다. 이는 고대 장승이라는 실존인물을 신화하여 고을을 수호한다는 뜻으로 세운 것인데 지금은 겁이 없고 용감하다는 뜻으로 전용하여 장승이 굳센 인걸이라는 뜻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 응현동(鷹峴洞): 매바지 이 마을은 산세가 매를 닮은 .. 더보기
대룡1리(大龍一里) ▼ 위성으로 본 대룡1리 ▼ 대룡1리 전경 ▼ 화개산에서 바라본 대룡1리 ⊙ 대아촌(大雅村): 대촌, 대춘 이 마을에서는 역마(驛馬)를 사육하였다 하여 대역촌이라 하였는데, 후에 대아촌으로 개칭한 것이 대촌으로 와전되었으나 지금은 대춘으로 전해지고 있다.이 역마는 공문서를 전달하는 공용으로 이용하였는데 이조 때는 진망산(현 읍내리의 남산)의 사신관을 왕복하는 역할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며 역비를 두어 임무를 수행토록 하였다 한다. ⊙ 제비동(연촌, 燕村) : 쥐비 천지마루를 넘어 제비동이 있는데 지형이 마치 제비집이 매달려 있는 것 같다는 데서 제비라 부르던 것이 쥐비로 와전되어 전해졌다. ⊙ 장골 옛날에는 이 마을에 시장이 있었는데 그곳에 큰 은행나무가 서 있어서 은행장터라고 불리었고 이것이 생략되어 .. 더보기
콩청대(=콩서리) 오곡이 무르익고 수확철이 되면 잊을 수 없는 옛 어릴적 추억이 있다. 황금물결 넘실대는 조개맨들 들판과 부시미산 주변등에는 밭이 있어서 콩을 심었는데 콩깍지가 누렇게 익을 쯤이면 우린 콩청대(=콩서리)를 해 먹는다. 학교에서 집으로 오면 곧장 달려가는 곳이 산과 들판이었고 그.. 더보기